1. 대상포진의 정의 및 발병 이유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어릴 때 수두를 앓았던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수두가 완전히 치료된 후에도 이 바이러스는 몸속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신경절 속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대상포진을 유발합니다.
대상포진은 피부에 띠 모양으로 발진과 물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진 노년층이나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심한 경우 합병증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발병 이유
대상포진의 가장 큰 원인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될 때 다시 활성화되는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면역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나이 증가-5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2) 면역력 저하-스트레스, 과로, 불규칙한 생활습관, 영양 불균형 등으로 면역력이 약해지면 발병 위험이 커집니다.
3) 만성 질환-당뇨병, 고혈압, 암, 신장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면역력이 약해져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4) 면역억제 치료-항암 치료, 스테로이드 복용,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5) 심한 스트레스와 피로-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대상포진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2. 대상포진의 증상 및 합병증
대상포진은 초기 증상과 발진 및 물집 발생 단계, 회복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초기 증상-대상포진이 발병하기 며칠 전부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가 가렵거나 저릿한 느낌, 국소적인 통증 (찌르는 듯한, 타는 듯한 느낌), 피로감 및 전신 무기력, 발열 및 오한 등
2) 발진 및 물집 발생-초기 증상이 나타난 후 2~3일 후에는 피부에 띠 모양의 발진이 나타나고, 이후 물집이 생기면서 통증이 심해집니다. 보통 몸의 한쪽에서 발생하며, 얼굴, 목, 등, 가슴, 허리 등에 잘 생깁니다. 물집이 터지면서 딱지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심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통증이 신경을 따라 퍼지면서 화끈거리거나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3) 회복 단계-물집이 터진 후 딱지가 생기면서 서서히 회복됩니다. 하지만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대상포진 자체도 힘든 질병이지만, 심한 경우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대상포진 후 신경통-대상포진이 치료된 후에도 신경 손상이 지속되면서 통증이 몇 달에서 몇 년간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2) 안구 대상포진-대상포진이 눈 주변에서 발생하면 각막염, 결막염, 심한 경우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뇌염 및 뇌졸중 위험 증가-바이러스가 뇌로 퍼지면 뇌염이나 뇌졸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피부 감염 및 흉터-물집이 심하게 감염되면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흉터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
3. 대상포진의 진단과 치료 및 건강 유지법
(1) 진단
대상포진은 일반적으로 임상 증상을 통해 진단됩니다.
피부 발진 및 물집의 모양과 분포, 환자의 병력 (수두를 앓은 경험), 통증의 위치와 강도 등
특히 증상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PCR 검사나 항체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2) 치료-대상포진 치료는 바이러스 억제, 통증 완화, 합병증 예방이 주요 목표입니다.
1) 항바이러스제-발진이 나타난 후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대표적인 약물:아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 팜시클로버
2) 진통제 및 항염증제-신경통이 심할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나 아편유사제 등이 사용됩니다. 심한 신경통에는 가바펜틴이나 프레가 발린 같은 신경통 치료제가 처방되기도 합니다.
3) 피부 관리-물집 부위는 깨끗하게 유지해야 하며, 필요하면 항생제 연고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3) 대상포진 예방법
대상포진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방 접종입니다.
1) 대상포진 백신 접종-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대상포진 백신접종이 권장됩니다. 백신을 맞으면 대상포진 발병률을 줄이고, 발병하더라도 증상이 경미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면역력 관리-균형 잡힌 식사, 충분한 휴식,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스트레스 관리-과도한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저하시켜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명상, 요가, 취미 생활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대상포진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이지만,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초기에 빠르게 치료하면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발진과 통증이 함께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백신 접종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함으로써 대상포진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